•
Pet Related Market
◦
한국 Macro 지표
▪
반려동물 가구 수
•
2020년 대한민국 반려동물 가구 수 추이:
◦
202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전체 가구 수는 2150만으로 이 중 604만(KB증권)/312만(통계청)가구가 반려동물을 양육중인것으로 나타남.
•
2012년-2020년 대한민국 반려동물 숫자 추정 치:
◦
2012년부터 2020년도까지 반려견 & 반려묘 숫자는 5.65%의 CAGR로 꾸준히 상승중임. 1인 가족과 핵가족 증가 등 가족 형태가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고 있으며 앞으로도 반료동물 숫자는 높은 상승세를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.
Pet Market
•
Pet Related Market
◦
한국 Macro 지표
▪
반려동물 가구 수
•
2020년 대한민국 반려동물 가구 수 추이:
◦
202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전체 가구 수는 2150만으로 이 중 604만(KB증권)/312만(통계청)가구가 반려동물을 양육중인것으로 나타남. | 지역 | 전체 가구 수 |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 (KB증권 자료) | 인구 수 대비 % |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 (통계청 자료) | 인구 수 대비 % |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--- | | 서울 | 4,126,524 | 1,310,000 | 32% | 498,113 | 12% | | 경기 | 5,294,836 | 1,620,000 | 31% | 862,173 | 16% | | 강원 | 668,479 | 70,000 | 10% | 113,644 | 17% | | 인천 | 1,178,564 | 340,000 | 29% | 194,387 | 16% | | 세종 | 141,133 | 40,000 | 28% | 18,494 | 13% | | 대전 | 639,020 | 200,000 | 31% | 80,156 | 13% | | 충북 | 695,948 | 210,000 | 30% | 109,696 | 16% | | 충남 | 922,067 | 200,000 | 22% | 157,360 | 17% | | 경북 | 1,152,097 | 290,000 | 25% | 169,659 | 15% | | 대구 | 997,416 | 290,000 | 29% | 120,096 | 12% | | 울산 | 452,995 | 110,000 | 24% | 59,242 | 13% | | 부산 | 1,420,252 | 400,000 | 28% | 184,282 | 13% | | 경남 | 1,376,240 | 350,000 | 25% | 199,496 | 14% | | 전북 | 767,803 | 230,000 | 30% | 109,761 | 14% | | 광주 | 608,316 | 150,000 | 25% | 74,499 | 12% | | 전남 | 772,660 | 160,000 | 21% | 136,952 | 18% | | 제주 | 270,435 | 70,000 | 26% | 40,952 | 15% | | 총 가구 수 | 21,484,785 | 6,040,000 | 28% | 3,128,962 | 15% |
•
2012년-2020년 대한민국 반려동물 숫자 추정 치:
◦
2012년부터 2020년도까지 반려견 & 반려묘 숫자는 5.65%의 CAGR로 꾸준히 상승중임. 1인 가족과 핵가족 증가 등 가족 형태가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고 있으며 앞으로도 반료동물 숫자는 높은 상승세를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.
(자료:검역본부) | 반려견 수 | 반려묘 수 | 반려견묘 수 |
2012 | 4,390,000 | 1,150,000 | 5,540,000 |
2016 | 5,130,000 | 1,900,000 | 7,030,000 |
2017 | 6,620,000 | 2,330,000 | 8,950,000 |
2018 | 5,070,000 | 1,280,000 | 6,350,000 |
2019 | 5,980,000 | 2,580,000 | 8,560,000 |
2020 | 6,020,000 | 2,580,000 | 8,600,000 |
CAGR % | 4.03% | 10.63% | 5.65% |
•
펫코노미(Petconomy=’Pet’+’Economy’) ‘펫코노미’란 반려동물과 연관된 생산 및 소비 활동 전반을 의미함. 1인 가구 확대, 저출산 및 고령화 등에 따라 반려동물을 양육중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. 이에따라 펫 시장내의 생산 및 소비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됨.
◦
펫코노미 시장
▪
전체 시장 규모
•
과거
▪
(단위: 조원)
2015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2021 | |
펫시장 CAGR:8.25% | 2.8 | 2.8 | 3.3 | 3.5 | 3.8 | 4.0 | 4.8 |
의료시장 | 26% | 26% | 29% | 27% | 28% | 29% | 29% |
비의료시장 | 74% | 74% | 74% | 73% | 72% | 71% | 71% |
•
미래 Forecast
•
(단위: 조원)
2022 | 2023 | 2024 | 2025 | 2026 | |
펫시장 CAGR:8.25% | 2.8 | 2.8 | 3.3 | 3.5 | 3.8 |
의료시장 | 29% | 29% | 29% | 30% | 30% |
비의료시장 | 71% | 71% | 71% | 70% | 70% |
•
◦
2020년 펫코노미 분포도 최근 5년 사이 서비스 및 상품시장의 온라인 커머스 이용 비중 44% → 60%로 성장. 26년도에는 76%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
▪
서비스(17%)
•
분양 37%
•
돌봄 6%
•
훈련 5%
•
미용 26%
•
장례 26%
▪
수의의료 (30%)
•
의료서비스 27%
•
의약품 51%
•
의료기기 11%
•
MSO 10%
•
LAB 1%
▪
상품 (52%)
•
사료 50%
•
간식 12%
•
건강보조식품 2%
•
일반 용품 34%
•
스마트 용품 1%
▪
보험 (1%)
•
동물/반려동물병원 수 동물 수의사 & 동물병원 (반려동물 + 특수목적동물) 반려동물 수의사 & 반려동물병원 (반려동물) 국내에서 특수목적의 동물들의 치료시설은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반려동물병원은 점점 증가하고 있음. 전체적인 수의사 및 동물병원은 증가하고 있음으로 시장의 성장세는 긍정적으로 전망됨.
2018 | 2020 | CAGR % | |
동물병원 | 1,246 | 1,037 | (8.77%) |
반려동물병원 | 3,260 | 3,567 | 4.60% |
전체 동물병원 | 4,506 | 4,604 | 1.08% |
동물 수의사 | 1,687 | 1,330 | (11.21%) |
반려동물 수의사 | 5,385 | 6,337 | 8.48% |
전체 동물병원 수의사 | 7,072 | 7,667 | 4.12% |
•
◦
타 업종 대비 동물병원 수익 증감 온라인시장의 확장으로 병원 및 오프라인 시장의 매출 감소
E-commerce | 동물병원 | 오프라인 펫샵 | |
2016 | 44 | 6 | 28 |
2021 | 60 | 3 | 17 |
•
반려가구 월 평균 지출
◦
평균 지출 및 분포도
▪
2021년 기준, 국내 반려가구의 월평균 지출은 평균 14만원으로 51%의 양육비가 먹거리로 구성됨.
•
•
글로벌 Macro 지표
◦
펫코노미
▪
반려동물 지출 관련
▪
EMR
•
The GLobal Veterinary Software Market
◦
919.2MUSD by 2027 (9.4% CAGR)
◦
494.0 MUSD 2021 (9% CAGR)
•
Petconomy M&A 사례:
◦
검토 필요
▪
In 2021, Petco was acquired by Leonard Green & Partners and Canada Pension Plan Investment Board for $4.6 billion, Petco is a leading pet specialty retailer.
▪
In 2020, J.M. Smucker Co. acquired Ainsworth Pet Nutrition for $1.9 billion, Ainsworth is a leading producer of pet food and treats.
▪
In 2019, Mars Petcare acquired VCA Inc. for $9.1 billion, VCA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health care services in the US.
▪
In 2018, Nestle Purina Petcare acquired Merrick Pet Care for $2.9 billion, Merrick is a leading producer of natural and organic pet food.
▪
In 2017, Blue Buffalo Pet Products acquired Wild Earth for an undisclosed amount, Wild Earth is a pet food company that produces high-protein, plant-based dog food.
▪
In 2016, Petco was acquired by CVC Capital Partners and the Canada Pension Plan Investment Board for $4.6 billion.
▪
In 2015, Hill's Pet Nutrition was acquired by Colgate-Palmolive for $13 billion, Hill's is a leading producer of pet food and treats.
▪
In 2013, Mars Petcare acquired Nutro Products for an undisclosed amount, Nutro is a producer of natural and organic pet food.
▪
In 2012, Nestle Purina Petcare acquired Ralston Purina for $10.3 billion, Ralston is a leading producer of pet food and treats.
▪
In 2011, Mars Petcare acquired Procter & Gamble's pet food business for $2.9 billion, Procter & Gamble is a leading producer of pet food and treats.
▪
In 2020, KKR & Co acquired Elanco Animal Health for $7.6 billion, Elanco is a leading animal health company.
▪
In 2019, Clayton Dubilier & Rice acquired PetIQ for $2 billion, PetIQ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health and wellness products.
▪
In 2018, L Catterton acquired Blue Buffalo Pet Products for $8 billion, Blue Buffalo is a leading producer of natural pet food and treats.
▪
In 2017, The Carlyle Group acquired VCA Inc. for $7.7 billion, VCA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health care services.
▪
In 2017, TPG Capital acquired PetVet Care Centers for $1.2 billion, PetVet is a leading provider of veterinary services.
▪
In 2016, The Riverside Company acquired Trupanion for $1.25 billion, Trupanion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health insurance.
▪
In 2016, The Jordan Company acquired Central Garden & Pet for $2.5 billion, Central Garden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and garden products.
▪
In 2015, TPG Capital acquired Petco for $4.6 billion, Petco is a leading pet specialty retailer.
▪
In 2014, The Carlyle Group acquired PetSmart for $8.7 billion, PetSmart is a leading pet specialty retailer.
▪
In 2013, The Riverside Company acquired Pet Supermarket for $780 million, Pet Supermarket is a leading provider of pet products and services.
◦
•
국내 EMR (추정시장규모: 150억원 미만)
◦
국내시장 현재 국내시장내 Key players는 ‘인투씨엔에스’와 ‘우리엔’으로 국내 동물병원의 전체의 80-90%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.
국내기업 | |||||
IAMDT | 헬스앤메디슨 | 인투씨엔에스 | 우리엔 | 벳칭 | |
설립일 | 2021.07 | 2019.02 | 2007.12 | 2012.11 | 2020.10 |
주요서비스 | 1. EMR (클라우드) |
•
벳아너스
•
사업 컨설팅 | 1. VACE EMR 서비스 (Display 신식)
•
동물병원 스마트 커머스
•
WEEDLE 반려동물산책관련 앱
•
위들 아카데미 동물 훈련 등 유튜브 채널 | 1. IntoVetGE EMR 서비스(원내서버)
•
AllVet & 벳몰 B2B 플랫폼 장비, 운영장비, 용품 등 거래 3.IntoVetMall B2C 플랫폼
•
반려동물용품 사료 등 | 1. 우리엔PMS(클라우드/원내 서버) 진료차드, PACS, CRM, 경영관리, 재고관리 등
•
MyVet Imaging 동물용 영상진단의료기기 및 소프퉤어 개발,제조,판매
•
Wooriden Pharm 임상기술 지원 서비스
•
스마트 커머스 소비자기반의 진료수첩 및 정보 제공 앱 | 1. 플러스벳 EMR 서비스 (클라우드)
•
CRM | | 월매출 | - | 2020년(사람인) 매출: 1억 8,275만원 | 매출: 2019년 27억8,200만원 2020년 35억7,200만원 2021년 50억8,200만원 | 매출 2019년 30억 6,000만원 2020년 60억 200만원 2021년 87억 5,000만원 영업이익 2019년 (22억7,000만원) 2020년 (12억4,000만원) 2021년 (13억9,000만원) | - | | BM | - | - | 기본가: 50만원 | 기본가: 45만원 | 기본가: 33만원 | | 주요지표 | - | - | 자회사 IntoPET 30만명 다운로드 EMR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기록 있음. | EMR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기록 있음. | - | | 특이사항 | 1. 벳아너스 대표 벳아너스는 61개의 동물병원 연합로 CS 회계 자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연합 | 1. 2020 디캠프 디데이 우승
•
2020 경기도 반려동물 창업 지원 사업 & 마이크로 소프트 스타트업 프로그램 1기
•
인투씨엔에스랑 협업 MOU 계약 체결 | 1. 국내 시장 점유율 2위
•
헬스앤메디슨과 파트너쉽 체결(MOU)
•
펫퍼민트 보험과 파트너쉽
•
3년이내 상장을 목표로 두고 있음 | 1. 국내 시장 점유율 1위
•
지주회사: 바텍 네트웍스(Vatech) 인수/합병을 통한 공격적인 경영 전략을 보여줌
•
2014년 펫플 인수
•
2019년 에이팜 인수
•
2020년 PnV 인수합병 | 1. 2022 팁스(TIPS) 선정 | | 국내 시장 점유율 | 1. ERM 61개 동물병원 거의 확정 (국내: 1.32%) | 1. ERM 비공개
•
E-commerce MarketV 사용자 150개 동물병원 (국내: 3.26%) | 1. ERM IntoVET GE 국내 1,800개 (국내 점유율: 39.6%) 해외 1,000개
•
| 1. ERM 우리엔PMS 국내 1,900개 (국내 점유율: 41.3%) | - | | 펀딩이력 | 2022 (Series A) | 2020 (Pre-A) | 2015, 2020 | 2019 | 2022 | | 투자유치/Pre-V | 75억/?? | 18억/?? | 2015년 ??/?? 2020년 100억/?? | 100억/?? | 7억/?? | | 투자자 | GS리테일 IMM PE 한화손해보험 | 2020년 신용보증기금, 하나벤처스, 연세대학교 기술지주회사 | 2015년 다음카카오, 녹십자 2020년 시냅틱인베스트먼트 (지분: 21%) | 뮤렉스파트너스 | 인라이트벤처스 |
◦
인투씨엔에스 인투씨엔에스는 2007년 설립된 회사로 2010년부터 야생동물 구조센터, 동물원, 대학 동물의료센터에 전산화시스템을 도입함을 기점으로 발전해옴. 최장기 생존기업과 국내시장 점유율 1-2위(40%)란 이미지, 높은 IntoVetGE와 의료기기의 연동성 및 의료용품 구입 커머스(현재 AllVet & 벳몰)를 제공함으로 분야별 연동성을 이용한 전략적 포지셔닝을 이용해옴. 현재 인투팜이라는 자회사가 있지만 제품 배송 및 B2B 홈페이지 관리의 목적의 자회사로 보임 (B2B 홈페이지는 2020년 인투씨엔에스로 권한 다시 넘어감). 장점 및 포지셔닝: 기기 연동성이 좋으며 국내 업계내 최장수 기업 이미지 및 많은 2차-3차 동물병원 (대학 동물의료센터 & 동물원) 전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해왔기에 업계내의 평판이 긍정적임. 또한 B2B플랫폼을 이용한 마케팅이 용이함. 단점: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며 IntoVetGE 사용이 어렵다는 평이 있음(이는 인투씨엔에스 측에서 원격조종으로 해결). 또한, 디스플레이와 소프트웨어가 상대적으로 구식이며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원내서버를 이용함.
▪
상품 종류
•
IntoVetGE (EMR + CRM)
◦
IntoVetGE는 인투씨엔에스의 주력상품으로 EMR 과 CRM 솔루션을 제공함.
◦
EMR 관련 의료기기장비들과 가장 호환성이 좋다고 평가되며 이 점이 해외수출도 가능한 점으로 예상 됨.
▪
기능
•
Subjective, Assessment, Plan, Vaccine, Vital, 용품, 미용, Follow up, Today, 수납, SMS
•
2Objective, SOAP인쇄, 일별매출현황, 담당자별매출, 일별상세매출
•
진단검사, 병성검사, 혈당곡선, 예약일정, 일일결산, 입원, 호텔, Talk
•
이미지차트, 차트인쇄, 병성감정인쇄, 혈당곡선인쇄, 입원탭, Quick
•
국내의 혈액장비, 영상장비 등 의료장비 최다 연동
•
재고관리, 행정관리, EIS, 현금결산, Order, PACS 탭, LIS탭, Prescription탭, Problem List
•
모바일 건강수첩 인투펫
▪
Information Transfer 관련
•
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원내서버를 기반으로 하기에 병원끼리의 EMR 정보 교류가 불가하였지만 현재는 IntoRefer(Paperless Chart Transfer)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완함.
◦
CRM 관련
▪
IntoVetGE의 CRM 기능: 태블릿이나 패드를 이용한 각종 동의서 서명 보조 시스템 / 병원에 걸려온 발신자 정보 표시 기능 / 보호자 방문 예정일 등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 모바일 건강수첩 앱 인투펫 연동 및 공지, 내원 스케줄 등 병원 무료 알림 서비스
•
IntoPad
▪
IntoPet을 이용한 CRM 솔루션 제공(가입자: 30만명 이상): IntoPet을 이용한 기능은 1. 동물병원 치료안내, 행사/소식 실시간 전달 2. 예방접종, 내원내역, 미용 일정 선택적 제공 3. 반려동물 등록정보 간편 확인 4. 투약시간 자동알림 이 있지만 IntoVetGE와 연동성은 현재 확인이 필요함
◦
B2B 플랫폼 (Intob → AllVet & VetMall)
▪
현재 인투씨엔에스는 AllVet 과 VetMall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상품을 동물병원에 판매중임.
•
반려동물용품
•
영엉용 인쇄 / 출판 (인쇄물, 병원 약 봉투 등)
•
동물의료기기
•
운영장비
•
중고거래
•
동물관련 강의영상
•
동물산업 인사이트
◦
마케팅수익
▪
IntoVetGE와 IntoPet을 이용한 마케팅 수익이 있으나 (중요하진 않음)
◦
반려동물간식 제품
▪
미로와로라는 제품 보유 (중요하진 않음)
◦
우리엔 우리엔은 2012년 11월 설립된 회사로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바텍 네트웍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있음. 바텍 네트웍스는 현재 다수의 치과용 의료기기 분야 시장 점유율 1위인 기업임. 우리엔은 이 점을 이용하여 바텍 네트웍스와 협업하여 동물전용 의료기기를 생산 판매 하고 있음. 우리엔은 동물전용 의료기기 생산 및 판매를 이용한 EMR의 다양한 프로모션 접근을 이용해왔고 이 점이 우리엔의 빠른 성장과 포지셔닝의 기점을 함. 또한, 다양한 M&A를 이용한 공격적인 전략의 공격적인 성장을 이뤄냄. 우리엔은 2014년 펫플, 2019년 에이팜, 2020년 PnV를 인수합병함으로서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및 기술을 확장해옴. 장점 및 포지셔닝: 우리엔은 지주회사와 협업을 통한 의료기기 생산 및 판매해왔음. 이 점을 활용하여 EMR 판매 프로모션이 용이함. 디스플레이는 신식으로 사용이 상대적으로 간편함 또한,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함. 인투씨엔에스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함. 단점: 현재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상용화하는 중에 있음. 마이너스의 영업이익률. CRM 기능의 부족.
▪
Woorien PMS (원내 서버) & PMS 365 Cloud (아마존 클라우드)
•
EMR 관련 동물의 의료정보 및 진단영상 관리 등 전자차트 기능을 하고 있음. PMS 365 Cloud는 국내 최초의 클라우드 기반 EMR 시스템임. 의료기기 호환성은 우리엔사 제품들과 호환이 가능하나 타사 제품은 확인이 필요함.
◦
기능
▪
PMS 365 PC
▪
PMS 365 Mobile
▪
WeView (모바일 연동)
▪
Hospital Manager (경영관리 & CRM/SCM)
▪
DentView (치과 X-ray 사진 및 영상 획득)
▪
Waiting Monitor (CRM - 진료실 입실 안내 메시지 기능)
•
CRM 관련
◦
WoorienApp WoorienApp을 통하여 예약, 상담, 방문내역, 병원관련 정보를 취득 가능하며 반려동물 관련 육아노트 기록 가능.
•
Information Transfer 관련
◦
PMS 365 Cloud 도입으로 정보 공유 기능이 상당히 용이해짐. WEREFER(설치 필요X) 기능으로 병원들간의 환자 관련 정보 공유 및 고객 데이터 관리가 가능해졌고 2차 병원과 협력관계를 맺거나 의뢰 할 수 있음.
▪
E-friends
•
▪
eLab 알러지검사, 항체가검사, 건강검진서비스 질병진단 검사, 감염병 PCR 검사 등 서비스 제공
▪
Wooricare (국내 최초 수의 영상 자문 서비스) 국내 중소규모 동물병원의 영상 판독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한 수의영상 원격판독자문 서비스이며영상관련 종합적인 컨설팅을 제공함. (수의사 분야의 숨고 느낌)
▪
[자회사] Woorien Pharm
•
동물병원 전용 약품 유통 전문회사,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자는 취지의 자회사로 보이며 에이팜 인수건을 고려했을때 앞으로의 진취적 목표가 있는 것으로 예측됨.
▪
[자회사] Myvet Imaging (의료기기)
•
VET CT (동물 CT 촬영기)
•
DR Solution (X-ray 진단기기)
•
수술용 DR Solution (수술 관련 기기)
•
Dental Pano (동물 치과용 촬영 기기)
•
Dental Solution (동물 치과 진단 솔루션)
•
Equine (말 전용 영상 촬영)
•
해외기업
해외기업 | |||||
Covetrus | Hippo | PetTracks | VETRX | VitusVet | |
설립일 | 2019 | 2012 | 2019 | 2013 | |
주요서비스 | 1. Software | ||||
EMR | |||||
Client Communication System | |||||
2.Prescription Management |
•
Consulting Service: Products&Distribution, Business Service Financial Service inventory Management | | 1. EMR
•
Client Communication System | 1. EMR
•
Client Communication System
•
E-prescription | 1. EMR
•
Client Communication System | | 월매출 | 2021 매출: $4,575MUSD 영업이익: ($23)MUSD 2020: 매출: $4,339MUSD 영업이익: ($69)MUSD 2019 매출: $3,976MUSD 영업이익: ($997)MUSD | | | | | | BM | Foundation: $250 per month Standard: $386 per month Premium: $536 per month | | | 의사 - Free 약사 - 가격협의 개인 - Free | | | 주요지표 | | | | | | | 특이사항 | 1. 원래는 Henry Schein을 지주회사로 둔 자회사였으나 2019년 Spin-off를 통해 VetsFirstChoice와 합병 후, Covetrus로 재탄생함.
•
현재 미국내 시장 점유율 1위의 Animal health product & service supply 회사임 | | | | | | 시장 점유율 | 100,000 Customers | | | | | | 펀딩이력 | 2021 (Seed) | | | | | | 투자유치/Pre-V | ??/?? | | | | | | 투자자 | Polaris Partners, HLM Venture Partners | | | | |
•
장례서비스 (동물장묘업) (추정 시장 규모: 310억원 미만)
◦
매년 사망하는 반려동물 수는 40-60만
◦
일본 VS 한국 비교
▪
일본은 1,000개가 넘는 동물화장장을 보유 했었으나 많은 화장장 및 동물장묘업체가 폐업하여 2017년 기준 580여 곳만 정상 운영 되고 있음.
•
일본은 반려동물 수가 2,000만이며 화장률이 75%임.
▪
한국은 현재 66개의 동물장묘업체가 있으며 현재 업체수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.
•
한국은 반려동물 수가 800만이며 화장률은 7-8%로 일본에 비해 상당히 낮은 인원이 사용함(47,577건, 2020년도 기준).
◦
현재 국내 66개 기업이 동물장묘업 서비스를 제공중
▪
2022년 1월 기준 사람 화장장 수는 62곳으로 현재 동물화장장 수보다 적은 아이러니한 상황임.
▪
◦
◦
21그램 (60억원 - 한국투자파트너스, 코웨이,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)
•
헬스케어
◦
브리지테일(2021.09 42억